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전시가문학20

0022. 고려가요_서경별곡(西京別曲_작자미상) 1. 핵심 정리 갈래 : 고려 가요 성격 : 서정적, 애상적 제재 : 임과의 이별 주제 : 이별의 정한(情恨) 특징 : ① 설의적 표현을 통해 임과의 사랑을 맹세하는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② 상징적 시어를 통해 화자가 처한 이별의 상황을 드러냄. 의의 : 고려 가요 와 함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 출전 : , 2. 시어 풀이 우러곰 : 울면서.‘-곰'은 강세 접미사. 좃니노이다 : 따르겠습니다. 네 가시 : 네 각시, 네 아내. 럼난디 : 음란한 마음이 난지. 연즌다 : 얹었느냐, 태웠느냐. 것고리이다 : 꺾을 것입니다. 3. 시구 풀이 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후렴구이다. 북소리의 의성어로서 작품 전체에 경쾌한 리듬감을 더해 주는 요소이다. ② 구스리 아.. 2023. 11. 22.
0021. 고려가요_동동_작가미상 1. 핵심 정리 갈래 : 고려가요 성격 : 연가(戀歌)적, 민요적, 서정적 제재 : 달마다 행하는 세시풍속 주제 : 임에 대한 송도(頌禱)와 연모(戀慕)의 정 특징 : ① 분절체 형식으로 서사인 1연과 본사인 12개 연으로 구성됨. ② 영탄법, 직유법, 은유법을 사용함. ③ 세시 풍속에 따라 사랑의 감정을 읊음. 의의 : 현전하는 최고(最古)의 월령체(달거리)노래 연대 : 고려 시대(12~14세기 경) 출전 : 2. 시어 풀이 곰븨예 : 뒷 잔에, 다음 잔에, 신령에게. 림븨예 : 앞잔에, 임(임금)께. 나사라 : 드리러, 진상(眞上)하러. 어져 녹져 : 얼려 하고 녹으려 하고 녈셔 : 살아가는 구나, 지내는구나. 즈시샷다 : 모습이시도다, 모습 같구나. 닛고 신뎌 : 잊고계신지요. 별해 : 벼랑에. 3.. 2023. 11. 14.
고전시가 0020_가시리_작가미상 1. 핵심 정리 갈래 : 고려 가요 성격 : 서정적, 민요적, 애상적 제재 : 임과의 이별 주제 : 이별의 정한(情恨) 특징 : 간결한 형식과 소박한 시어를 사용하여 이별의 감정을 절묘하게 표현함. 의의 : ①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정서인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대표 작품 ② 여성적 정조의 원류가 되는 작품 출전 : , 2. 시어 풀이 바리고 : 버리고 잡사와 : 잡아서, 붙잡아. 선하면 : 서운하면. 셜온 : 서러운 도셔 : 돌아서서. 기본형은 ‘도셔다'로 ‘돌다[回]'와 ‘서다[立]'의 합성어. 3. 시구 풀이 ①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난 / 바리고 가시리잇고 나난 : 반복을 통해 자신을 떠나겠다는 임의 말을 믿기지 않는 화자의 정서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a-a-b-a' 구조에서 민요적 특징을 계.. 2023. 11. 11.
고려시대 시가문학사 1. 고려시대 시가의 특징 ① 중국 문화와의 교류, 과거 제도의 실시 등으로 향가와 같은 국문 문학이 위축, 쇠퇴하고 한문 문학이 융성하게 되었다. ② 평민들의 생활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고려 가요가 민간에서 유포, 전승되다가, 에 한시로 번역되어 궁중의 속악(俗樂) 가사로 수용되고 개편되 었다. ③ 고려 말 새로운 문학 담당층으로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득의에 찬 삶과 향락적인 여흥을 위해 경기체가를 창작, 향유했다. ④ 귀족 문학과 평민 문학으로 양분되어 있던 당시의 문학적 풍토에서 시조가 발생하여 이들을 아우름으로써 새로운 국민 문학의 기틀을 형성했다. 2. 향가 소멸의 원인 ① 고려 시대에 시행된 과거 제도의 영향 : 지식인들의 한문학 숭상 ② 향찰 사용 부진 3. 속악 우리 고유의 전.. 2023. 1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