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시가문학

0022. 고려가요_서경별곡(西京別曲_작자미상)

by 안녹산2023 2023. 11. 22.
반응형

 

서경별곡_본문해석

 

 

1. 핵심 정리

갈래 : 고려 가요
성격 : 서정적, 애상적
제재 : 임과의 이별
주제 : 이별의 정한(情恨)

특징 : ① 설의적 표현을 통해 임과의 사랑을 맹세하는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② 상징적 시어를 통해 화자가 처한 이별의 상황을 드러냄.
의의 : 고려 가요 <가시리>와 함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2. 시어 풀이

 

우러곰 : 울면서.‘-곰'은 강세 접미사.
좃니노이다 : 따르겠습니다.
네 가시 : 네 각시, 네 아내.
럼난디 : 음란한 마음이 난지.
연즌다 : 얹었느냐, 태웠느냐.
것고리이다 : 꺾을 것입니다.

 

3. 시구 풀이

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후렴구이다. 북소리의 의성어로서 작품 전체에 경쾌한 리듬감을 더해 주는 요소이다.

② 구스리 아즐가 ~ 신잇단 그츠리잇가 나난 : 구슬과 끈의 비유를 통해 오랜 세월을 헤어져 있어도 임에 대한 화자의 신뢰는 변하지 않을 것임을 다짐하는 내용이다. 굳은 다짐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재확인하는 이상적인 태도가 드러난다.

③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럼난디 몰라셔 : '네가 시름이 큰 줄 몰라서'로 보는 견해도 있고, '네 각시가 음란한지 몰라서'로 해석하기도 한다. 후자로 읽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화자가 임을 실은 배의 사공에게 애꿏은 원망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④ 대동강 아즐가 ~ 배 타 들면 것고리이다 나난 : '꽃'은 임이 만날 새로운 여인을 비유한 표현으로, 임이 배를 타고 강 건너편에 있는 새로운 여인과 사랑을 나눌 것이라고 하며 임을 떠나보내는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다.

 

 

4. 서경별곡 2연이 정석가 6연과 동일한 이유

<서경별곡>의 2연은 고려 가요<정석가>의 6연과 유사하다. 이는 당대에 이와 같은 구절이 유행했음을 보여주기도 하고, 또는 구전되는 과정에서 후대 사람들에 의해 첨삭 중복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한다.

 

 

서경별곡_이해와 감상

 

 

5. <서경별곡>과 <가시리>에 드러난 여성 화자의 성격

<서경별곡>과 <가시리>의 여성 화자는 둘 다 이별의 정한(情恨)을 노래하지만 이별에 대처하는 자세에서는 차이점을 보인다. 하지만 <서경별곡>의 화자도 원망의 대상이 임이 아니라 임이 떠날 수 있도록 배를 제공하는 사공에게 향히는 것으로 보아 전통적인 여인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서경별곡 vs 가시리

 

 

6. <서경별곡>의 내용과 형식에서 드러나는 고려 가요의 특징

① 형식상 : 후렴구의 사용, 3음보, 분연체 구성

② 내용상 : 지배 계층이 향유한 노래에 비해 표현이 자유롭고, ‘남녀상열지사'라고 지창한, 자유로운 연애 감정이 드러나는 부분도 많음.

 

 

7. 대동강의 의미와 물의 이미지

이 작품에서 ‘물'은 대동강이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배경과 연관되어 있다. 대동강을 경계로 서경은 임과 화자가  사랑했던 공간이고 그 건너편은 이별의 공간이다.

 

 

대동강의 상징적 의미

 

 

8.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송인>, 정지상 / 임을 보내는 심경이 담긴 작품 : 대동강을 배경으로 임을 떠나보내는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한시이다. <서경별곡>과 <송인> 모두 강을 배경으로 이별의 상황을 노래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서경별곡>의 강이 이별과 단절의 공간이라면, <송인>의 강은 이별의 공간인 동시에 화자의 깊은 슬픔이 투영되어 배가되는 공간적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서경별곡_키 포인트 체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