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전시가문학20

고전시가 0019_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_최치원 1. 핵심정리 갈래 : 한시, 7언 절구 성격 : 서정적, 상징적 제재 : 물소리 주제 : 세싱과 단절하고 산속에 은거하고 싶은 마음 특징 : ① 물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함. ② 대조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함. 연대 : 통일 신라 말기(9세기) 출전 : 권19 2. 시어 풀이 疊石(첩석) : 첩첩이 쌓인 바위. 重巒(중만) : 겹겹이 들어선 산봉우리. 人語(인어) : 사람들의 말소리. 是非聲(시비성) : 옳고 그름을 따지는 말다툼 소리. 故(고) : 짐짓, 일부러. 流水(류수) : 흐르는 물. 3. 시구 풀이 ① 첩첩한 돌 ~ 봉우리에 울리니 : 바위 사이를 빠르게 흐르는 물소리가 강렬하게 들리는 상황을 제시했다. ② 사람 말소리야 ~ 분간하기 어렵네 : 자연의 소리(물소리)로 인해 사람의 말소.. 2023. 11. 9.
고전시가 0018_추야우중(秋夜雨中)_최치원 1. 핵심정리 갈래 : 한시, 5언 절구 성격 : 서정적, 애상적 제재 : 비 내리는 가을밤 주제 :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는 지식인의 고뇌 / 고국에 대한 그리움 특징 : ①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부각함. ② 제목에서 가을과 밤, 비의 조합으르 시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조성함. 연대 : 통일 신라말(9세기) 출전 : 권19 2. 시어 풀이 秋風(추풍) : 가을바람. 苦吟(고음) : 괴로이 시를 읊조림. 少(소) : 적다, 드물다. 여기서는 ‘없다'의 뜻으로 이해할 수 있음. 知音(지음) : 마음이 서로 통히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 말. 三更.. 2023. 11. 9.
고전시가 0017_촉규화(蜀葵花)_최치원 1. 핵심 정리 갈래 : 한시, 5언 율시 성격 : 애상적, 체념적 제재 : 촉규화(접시꽃) 주제 : 자신의 재능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한탄 특징 : ① 자신의 처지와 상황을 자연물을 통해 비유적으로 드러냄. ② 선경후정의 대칭구조를 보임. 연대 : 통일 신라말(9세기) 출전 : 권4 2. 시어 풀이 梅雨(매우) : 매실이 익을 무렵에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해마다 초여름인 6월 상순부터 7월 상순 에 걸쳐 계속되는 장마를 이르는 말. 麥風(맥풍) : 보리 위를 스치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초여름의 훈훈한 바람. 3. 시구 풀이 ① 거친 밭 언덕 쓸쓸한 곳에 : 촉규화가 피어 있는 장소를 적막한 황무지 한모퉁이로 제시하고 있다. ② 탐스러운 꽃송이 가지 눌렀네 : 완숙한 학문적 경지를‘(흐드러지게 .. 2023. 11. 8.
고전시가 0016_야청도의성(夜聽擣衣聲)_양태사 1. 핵심정리 갈래 : 한시, 7언 배율 성격 : 애상적 제재 : 다듬이 소리 주제 : 고 국을 그리워하는 나그네의 마음 의의 : 발해 시인의 작품 중 가장 장편이며, 감정이 풍부하게 드러난 작품 연대 : 발해 제3대 문왕(8세기) 출전 : 2. 시어 풀이 霜天(상천) : 서리 내린 하늘,즉 가을 하늘을 의미하며, 작품의 계절적 배경이 제시된 표현. 禱衣聲(도의성) : 다듬이 소리. 이 작품의 중심 소재이자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심화하는 소재로, 청각적 이미지를 지님. 3. 시구 풀이 ① 가을 히늘에 ~ 심정이 간절해지네 : 가을 밤 밝은 달과 은하수는 시적 화자에게 쓸쓸함을 느끼게 하여 고향 생각을 하게 하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② 홀연 들리는 이웃집 ~ 소리 서로 비슷하네 : 고향 생각을 하는 .. 2023.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