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시가문학

문학사 개관_상고 시대의 시가(원시 시대 ~ 통일신라)

by 안녹산2023 2023. 10. 31.
반응형

 

상고 시대의 시가_개관

 

 

1. 상고 시대 시가의 특징

  • 집단적, 서사적 성격의 원시 종합 예술이 점차 개인적, 서정적 시가로 분리, 발전하면서 고대 서정 가요가 발생하게 되었다.
  • 한자의 보급으로 한문학이 발전하였고, 한시가 창작되기 시작했다.
  • 신라 시대에는 국문학사상 최초의 정형화된 서정시인 향가가 등장했다.

 

2. 상고 시대 시가의 갈래

 

고대 가요(古代歌謠)

삼국 시대 이전의 노래로, 음악 무용 시가가 분화되지 않았던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내용의 시가(詩歌)를 의미한다. 전해 오는 작품 대부분이 한자로 짤막하게 뜻만을 기록하고 있어 그 본래  모습은 구체적으로 알기 어렵다.

 

(1) 내용상특징


초기에는 집단 활동이나 의식과 관련된 노동요 의식요(집단적 서정 가요)가 창작되었고, 이후 개인적 서정에 바탕을 둔 서정 시가(개인적 서정 가요)가 주로 창작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고대 서정 가요는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한다.


(2) 형식상특징


당시에는 기록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구전되어 오다가 후대에 한역되어 전한다.


(3) 의의

  • 국문학 사상 최초의 서정 시가 형태이다.
  • 두 토막씩 넉 줄, 네 토막씩 두 줄 등 우리 시가의 초기 단계 형식을 보여 준다.

 

고대 시가 작품의 예

 

(4) 기타

 

기록되기 이전의 많은 시가들은 배경설화와 제목만 전하기도 한다.

 

고대 시가 기타 작품 정리표

 

향가(鄕歌)

신라에서 고려 초기까지 창작 향유되었던 서정시를 말한다. 신라 당대에는 우리나라 고유의 노래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향찰로 표기된 우리 고유의 시가를 뜻한다. <도솔가(兜率歌)>, <사뇌가(詞腦歌)>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특히 <사뇌가>는 향가의 완성형이라 이르는 10구체 향가를 일컬을 때 주로 쓰인다.

 

현전하는 최초의 향가 작품은 신라 진평왕 때인 6세기 말에 서동이 지은 <서동요(薯童謠)>이며, 고려 광종 때인 10세기 말에 지어진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가 향가의 마지막 작품이다. 향가를 집대성한 <삼대목>이 진성 여왕(9세기 말) 때 간행된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향가가 상당히 융성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1) 내용상 특징


민요, 동요, 토속 신앙에 대한 것, 임금을 그리워하는 노래, 나라를 다스리는 노래 등 다양하나 주술적 내용과불교적 기원 및 신앙심을 노래한 것이 가장 많다.


① 주술적 내용 : 혜성가(彗星歌), 도솔水兜率歌), 처용가(處容歌)
② 불교적 내용 : 원왕생가(願往生歌),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제망매가(祭亡妹歌)

 

(2 )형식상 특징


향가의 형식에는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다.


① 4구제 : 향가의 초기 형태. <도솔가>를 제외하고는 구전되어 오던 민요나 동요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② 8구체 : 4구체에서 발전된 형태. 4구체에서 10구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생긴 과도기적 형태이다.
③ 10구체

  ㉮ 가장 정제되고 세련된 형태. 향가의 가장 완성된 형태이다.

  ㉯ ‘4구+4구+2구'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 낙구(落句)라고 불리는 마지막 2구의 첫머리에는 감탄사 ‘아으'를 두고 있다.

  ㉰ 이러한 형식상의 특징은 후대의 시조 형식에 영향을  주었다.

 

(3) 의의

  • 국문학사상 최초의 정형화된 서정시이다.
  • 향가의 가사와 표기형식은 신라어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향가를 표기한 표기법인 ‘향찰'은 외래 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 발전시킨 것이다.

 

(4) 전승 방식


각각의 향가 작품은 그 배경이 되는 설화와 함께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며, 향찰로 표기된 노랫말의 앞이나 뒤에 그 노래와 관련된 배경 설화가 서술되어 있다. 배경 설화는 설화적 성격의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노래가 창작될 당시의 역사적 사실이 기술되기도 하였다.


(5) 작가


승려, 화랑 등 귀족 계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여성 일반인 등도 있었다.


(6)수록문헌


<삼국유사(14수가 전함), <균여전>(11수가 전함), <삼대목>(전하지 않음)

 

 

 

향가 작품의 예시

 

 

한시(漢詩)

기원전 2세기경 우리나라에 한문화(漢文化)가 수입되고, 4세기경 지배 계층에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 시대가 전개되면서 국가 체제가 정비되고, 한자의 보급으로 한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7세기경에는 한시문이 본격적으로 창작되어 한문학의 기원을 이룩하였다. 특히 신라 사람 최치원이 중국의 과거 제도인 빈공과(貧貢科)에 급제하여 벼슬을 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당시의 한문학 수준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한시는 고구려 을지문덕이 지은 <여수장우중문시(與隨將于仲文詩)>로, 이를 통해 삼국 시대에 한시가 완전히 정착되았음을 알 수 있다. 한시는 그 음률(音律)의 아름다움을 특히 중요하게 여겨 일정한 형식과 규칙에 따라 짓게 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고체시와 근체시가 있다.

 

(1) 고체시- 근체시에 비해 형식이 지유로운 한시
  ① 고시(古詩) : 사언 고시, 오언 고시, 칠언 고시
  ② 학부(樂府) : 장구(長句)


(2) 근체시 - 형식에 엄격한 규칙이 있는 한시
  ① 절구(絶句) : 4행시 - 오언 절구, 칠언 절구
  ② 율시(律詩) : 8행시 - 오언 율시, 칠언 율시
  ③ 배율(排律) : 2행 이상 - 오언 배율, 칠언 배율

 

 

고대 한시 정리

 

 

반응형

'고전시가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09. 제망매가_월명사  (0) 2023.11.03
0008. 헌화가_견우노인  (0) 2023.11.03
0006. 서동요(薯童謠)  (0) 2023.10.31
0005. 정읍사(井邑詞)_분석자료  (1) 2023.10.31
0001. 공무도하가 분석자료  (0)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