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핵심정리
갈래 : 10구체 향가
성격 : 추모적, 애상적, 비유적, 종교적
제재 : 누이의 죽음
주제 : 죽은 누이에 대한 추모
의의 : 정제된 형식미와 고도의 서정성을 담은 작품으로 현전하는 향가의 백미로 꼽힘.
연대 : 신라 제35대 경덕왕(8세기)
출전 : <삼국유사>권5
2. 시어 풀이
생사(生死)길 : 삶과 죽음의 갈림길을 이르는 말.
가살 : 가을.
쁘러딜 : 떨어질.
하단 가지 : 한가지(같은 부모)
미타찰(彌陀汞吐) : 아미타불(부처)이 있는 서방 정토(西方淨土). 아미타불을 외면 죽은 뒤 극락에 간다고 함 .
3. 시구풀이
① 생사(生死)길흔 ~ 머믓그리고 : 삶과 죽음의 걀림길이 멀리 있지 않고 가까이 있다는 인식과 함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드러난 부분이다.
② 나난 가나다 ~ 가나닛고 : 여기서 ‘나'는 죽은 누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나는 간다'는 말도 하지 못한 채 갑자기 죽은 누이에 대한 안타까움이 드러난다.
③ 어느 가살 ~ 쁘러딜 닙갇 : 죽은 누이를 가을의 이른 바람에 떨어지는 잎에 비유했다. ‘이른 바람'은 누이가요절했음을 암시한다.
④ 하단가지 ~ 모다론뎌 : ‘한 가지'는 같은 부모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한 어버이 아래 태어났지만 헤어지고 기는 곳을 모른다는 점에서 안타까움, 인생무상의 정서가드러난다.
⑤ 아야 미타찰(彌陀汞)아 ~ 기드리고다 : ‘나'는 불교적 믿음을 가지고 죽은 누이와 재회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혈육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종교적으로 승화한 것이다.
4. 작가소개
월명사(月明師) : 신라 35대 경덕왕 때의 승려. 학덕이 높은 이름난 승려였으며 향가를 잘 지었다고 한다. <도솔가>와 함께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종교적으로 승화한 10구체 향가 <제망매가>가 전한다.
5. 배경설화
월명이 일찍이 죽은 누이동생을 위해서 재를 올릴 때 향가를 지어 제사를 지냈더니 갑자기 광풍이 일어나 종이돈이 서쪽으로 날려 사라졌다. 월명은 늘 사천왕(四天王寺)에 살았는데 피리를 잘 불었다. 일찍이 달밤에 피리를 불면서 문 앞의 큰 길을 지나가니 달이 그를 위해 가는 것을 멈추었다. 이로 말미암아 그 길을 월명리(月 明里)라 했고, 월명사 또한 이로써 이름이 났다. 신라 사람들이 향가를 숭상함은 오래되었는데 대개 시송(詩頌 : 시로된 불경)과 같은 것이었다. 그러므로 자주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6. 시구의 비유적의미
<제망매가>가 문학성이 뛰어난 서정 시가로 꼽히는 것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자연의 섭리에 비유하여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른 바람'은 젊은 나이에 요절한 누이의 죽음을, ‘뜨러딜 닙'은 죽은 누이를, '하단 가지'는 누이와 화자를 낳아 준 어버이를 뜻한다. 가지에 붙었던 잎이 일찍 불어온 바람에 떨어지는 현상에 빗대어, 한 부모에게서 태어나 혈연 관계로 맺어졌던 이승의 인연도 죽음 앞에서는 어쩔 수 없이 헤어지게 된다는인식론적 깨달음을 드러내고 있다.
7. ‘이에'와 ‘미타찰'의 대비를 통해 본 화자의 태도
이 작품의 화자는누이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안타까움과 인생의 허무함과 같은 인간적인 정서를 느끼지만, 이러한 감정을 정제되지 않는 감상적으로 표출하지 않고,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자세를 보인다. 그리하여 낙구에서 학자는 혈육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불교적 믿음으로 극복하고 승화하며 수용하고 있다.
8. ‘죽음'을 다룬 시에 드러난 화자의 태도
문학작품은 인간의 삶과 죽음을 다양하게 형상화 한다. 죽음을 형상화한 대표적인 시가 작품 속에서 시적 화자가 보이는 태도를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9.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님의 침묵>, 한용운 / 이별의 상황에서 재회를 기약히는작품 : 임과 이별한 화자가 임과의 재회를 기약하고 영원한 사랑을 다짐하는 작품이다. <제망내가>와 <님의 침묵>에는 이별을 영원한 단절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이별 뒤에 새로운 만남이 예정되어 있다고 보는 일종의 낙관론과 종교적 신념이 잘 드러난다. 즉, 두 작품모두 만남과 이별이 대립적인 자질이 아니라, 만남 뒤에 이별, 이별 뒤에 만남이 지속 됨으로써 결국그 둘이 나누어지지 않고 하나일수 있다는 가치관을 잘 보여 준다.
'고전시가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11. 도솔가_월명사 (0) | 2023.11.05 |
---|---|
00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_충담사 (1) | 2023.11.03 |
0008. 헌화가_견우노인 (0) | 2023.11.03 |
0006. 서동요(薯童謠) (0) | 2023.10.31 |
0005. 정읍사(井邑詞)_분석자료 (1)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