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핵심 정리
갈래 : 4구체 향가
성격 : 민요적, 참요적, 모함적, 주술적
제재 : 선화 공주와 서동의 사랑
주제
① 표면적 : 선화 공주와 서동의 은밀한 사랑
② 이면적 : 선화 공주에 대한 서동의 사랑(선화공주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한 계략)
의의
① 현전하는 향가 중 가장 오래된 작품
② 민요가 4구체로 정착한 작품
③ 향가 중 유일하게 동요의 성격을 지닌 작품
출전 : <삼국유사> 권2
2. 배경설화
백제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의 어머니는 과부였는데, 못의 용과 관계하여 장을 낳았다. 그 아이는 어려서부터 도량이 크고 재주가 뛰어났다. 늘 마를 캐어 팔아 생업으로 삼았으므로 서동이라고 불렸다. 서동은 신라 진평왕의 셋째 공주 선화가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 서라벌로 갔다. 그는 동네 아이들에게 마를 먹여 친해진 뒤 동요를 지어 여러 아이가 부르게 했는데, 그 노래가 바로 <서동요>이다. 동요가 퍼져 대궐에까지 들리니 왕이 노하여 공주를 귀양 보냈다. 왕후는 공주에게 순금 한 말을 노자로 주었다. 공주가 귀양지로 가는 도중에 서동이 나타나 모시고 가겠다고 하자 공주가 허락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둘이 혼인하게 되었다. 그 후에야 공주는 서동의 이름을 알고 동요의 영험을 알았다. 둘이 함께 백제로 와서 왕후가 준 순금으로 생계를 도모하려 하니 서동이 자신이 마를 캐던 곳에 황금을 많이 쌓아 놓았다고 했다. 공주는 크게 놀라며 금을 신라의 궁궐에 보내자고 하고, 서동은 용화산 사자사의 지명 법사의 신력을 빌려 하룻밤 사이에 금을 신라의 궁중으로 보냈다. 이로 말미암아 서동은 인심을 얻어 왕위에 올랐다.
3. 시어풀이
그스지 : 은밀히, 몰래.
얼어 : 정을 통하여. ‘얼다'는 ‘혼인하다,시집가다, 정을 통하다'라는 뜻.
맛둥바울 : 맛둥 도련님, ‘맛둥'은 ‘마 파는 소년'이므로 이는 곧 ‘서동'을 의미함.
몰 : 몰래.
4. 시구풀이
① 선화공주(善化公主)니믄 ~ 얼어 두고 : 선화공주가 남몰래 정을 통했다는 것으로 선화공주의 사랑을 표현한 부분이다. 이는 선화공주에 대한 서동의 마음을 선화공주에게 전가하여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맛둥바울 ~ 안고 가다 : 선화 공주와 서동이 밤에 몰래 안고 가는 일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지만, 실제로일어난 것처럼 표현했다.
③ 남 그스지 얼어 두고 : 선화공주가 남몰래 결혼했다는 것은 시적 대상인 선화공주를 음해하는 내용이다. 배경 설화를 참고할 때 이노래의 작자인 서동이 이러한 구절을 담아 퍼뜨린 것은 선화공주를 자신의 아내로 삼기 위한 계략임을 알 수 있다.
5. 작가 소개
서동(薯童, 600시641) : 백제 제30대 무왕(武王). 이름은 장(璋), 아명(兒名)은 서동(薯童). 관륵 등을 일본에 보내어 천문, 지리 등의 서적과 불교를 전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으나, 말년에는 사치와 유흥에 빠져 백제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6. 서동요의 독특한 표현 방식
일반적으로 서정시는 시적 화자가 직접 자신의 마음이나 정서를 표현하는 1인칭 형식을 취하지만 <서동요>는 그렇지 않다. 배경 실화를 참고하면 이 작품은 본래 서동이 선화 공주와 혼인하기 위해 부른 노래이지만, 서동이 직접 나서서 말하지 않고 제삼자(아이들)가 서동과 선화 공주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3인칭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에는 표면적으로는 선화 공주가 서동을 사랑하여 구애하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선화 공주에 대한 서동의 사랑을 담은, 주객을 뒤바꾼 애정표현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3인칭 표현과 주객전도의 표현은 결국 선화 공주를 아내로 맞으려는 서동의 계략을 구현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7. 서동요의 구애적 성격
이 작품은 서동 설화에 삽입된 것으로, 서동 설화는 서동이 용의 아들로 태어나서 고난을 극복하고 왕위에 오른다는 영웅 설화의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서동요>는 자신의 마음을 상대방과 주변에 알리는 공개적 구애(求愛)의 성격이 강하며, 특히 남녀 간의 사랑을 드러내 놓고 표현한 점에서 구애시(求愛詩)라고 할 수 있다.
8. 민요 동요로서의 서동요
9. 참요로서의 서동요
10. 4구체 향가의 민요적 특성
민요는 두 줄 혹은 네 줄로 된 것이 많다. <황조가>, <구지가> 등의 고대 가요 또한 4줄 형식으로 되어 있다. 4구제 향가는 일반적으로 구전되어 오던 민요가 정착된 것으로 보며, <서동요> 역시 소박하고 단순한 형태와 표현으로 보아 민요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민요와 달리 <서동요>는 작가가 비교적 분명하다는 점에서 개인 서정시의 성격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11.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구지가>, 작차미상 / 언어의 주술적 힘을 보여주는 작품 : <구지가>는 가락국 건국 신화에 삽입되어 전하는 노래로, 수로왕의 강림을 기원하는 집단적이고 제의적인 성격의 노래이다. <구지가>와 <서동요> 모두 삽입 가요이며, 언어의 주술적 힘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다만 <서동요>는 단정적 인 말투를 시용하여 바라는 일이 이미 실현된 것처럼 표현했지만, <구지가>에서는 명령형을 사용했으며 바라는 일이 아직 실현되지 않은 미래의 일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2. 문제로 정리하기
1. 이 작품의 성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앞으로 일어날 일을 암시하는 참요의 성격을 띤다.
② 실제와 다르게 소문을 퍼뜨려 대상을 모함하고 있다.
③ 사람들의 입을 통해 널리 퍼진 노래이므로 민요적이다.
④ 부재하는 대상에 대해 그리워하고 있으므로 애상적이다.
⑤ 실제로 그 일이 일어나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으므로 주술적이다.
2. 이 작품과 <보기>를 비교하여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거북아, 거북아, / 머리를 내어라.
내어놓지 않으면 / 구워 먹으리.
- 구간 등, <구지가>
① 이 작품과 <보기> 모두 4구 형식의 짧은 노래이다.
② 이 작품은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고, <보기>는 상대를 위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③ 이 작품은 소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을 가정한 반면, <보기>는 소망이 이루어진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④ 이 작품은 실현되지 않은 일을 이미 일어난 것처럼 표현한 반면, <보기>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을 가정하고 있다.
⑤ 이 작품은 제삼자를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고 있고, <보기>는 청자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목적을 이루려고 하고 있다.
3. 이 작품과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표현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까닭 없이 마음 외로울 때는
노오란 민들레 꽃 한 송이도
애처롭게 그리워지는데,
아, 얼마나한 위로이랴.
소리쳐 부를 수도 없는 이 아득한 거리에
그대 조용히 나를 찾아오느니.
- 조지훈, <민들레꽃>
①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여 표현하고 있다.
② 주체와 객체가 전도된 표현을 하고 있다.
③ 시적 화자를 시의 표면에 드러내어 표현하고 있다.
④ 실제로 표현하려는 뜻과 반대되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⑤ 겉으로는 논리적 모순을 보이나 그 속에 진실이 내포되어 있다.
4. 서동이 이 작품을 창작한 의도를 한 문장으로 서술하시오.
서동이 선화 공주와 결혼하기 위해서 창작했다.
'고전시가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09. 제망매가_월명사 (0) | 2023.11.03 |
---|---|
0008. 헌화가_견우노인 (0) | 2023.11.03 |
0005. 정읍사(井邑詞)_분석자료 (1) | 2023.10.31 |
0001. 공무도하가 분석자료 (0) | 2023.10.31 |
문학사 개관_상고 시대의 시가(원시 시대 ~ 통일신라)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