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시가문학

고전시가0014_안민가_충담사

by 안녹산2023 2023. 11. 8.
반응형

 

안민가

 

 

1. 핵심 정리

갈래 : 10구체 향가
성격 : 유교적, 교훈적
제재 : 왕과 신하와 백성의 본분
주제 : 나라를 다스리는 올바른 방책, 치국안민(治國安民)의 도와 국태민안(國泰民安)의 이상
의의 : 향가 중 유교적 이념을 노래한 유일한 작품
연대 : 신라 제35대 경덕왕(8세기)
출전 : <삼국유사> 권2

 

 

2. 이해와 감상

신라 경덕왕 때 왕의 명을 받아 충담사가 지은 작품으로, 현전하는 향가 중 유일하게 유교적 이념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심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신라 경덕왕 때는 가뭄, 지진 등의 천재지변과 외척중심의 정국 운영 등으로 국가적 어려움이 컸다고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심을 수습하고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경덕왕이 충담사에게 <안민가>를 짓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 작품은 예술성보다는 목적성과 교훈성이강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1구~4구에서는 임금, 신하, 백성의 관계를 아버지, 어머니, 자식의 관계에 빗대어, 자식을 보살피듯 백성을 돌봐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5구~8구에서는 민본주위에 입각하여 백성의 기본적인 어려움을 해결해 줄 때 나라가 잘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 9구~10구에서는 나라가 태평하기 위해서는 임금, 신하, 백성이 각각 맡은 바 본분을 다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3.  배경설화

경덕왕 24년(765) 3월 3일, 왕이 귀정문 누각에 올라 좌우에 있는 사람에게 이르기를

 

"누가 길에 나서서 훌륭하게 차린 중 하나를 데려올 수 있겠느냐?"

 

라고 하였다. 마침 한 중이 점잖고 깨끗하게 차리고 천천히 지나가니, 좌우에 있던 사람이 이를 데려왔다. 왕이 말하기를,

 

"내가 훌륭하게 차렸다고 말한 것은 이런 것이 아니다."

 

라며 돌려보냈다. 또 한 중이 옷을 키워 입고 앵초풀로 만든 물건을 담는 통을 들고 남쪽에서 오고 있었다. 왕이 기뻐하며 문루(門樓) 위로 맞아들였다. [중략] 왕의 말하기를,

 

"내 일찍이 듣건대 대사의 기파랑을 찬양한 사뇌가(詞腦歌)는 그 뜻이 매우 높다고 하는데 과연 그런가?" 

 

하니, 

 

"네, 그렇습니다." 

 

하였다. 왕이 또 말하기를 

 

“그러면 나를 위해 백성을 편안히 살도록 다스리는 노래(안민(安民)의 노래)를 지으라."

 

고 하였다. 충담이 당장 노래를 지어 바치니 , 왕이 칭찬하고 왕사(王師)에 봉하였으나, 충담은 굳이 사양해서 받지 않았다.

 

 

4. 작품의 짜임

 

 

 

 

5. 비유적 관계를 통한 설득력 확보

이 작품에서는 국가적 관계를 가족 관계에 빗대어 임금과 아버지, 신하와 어머니, 백성과 자식이 각각 은
유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안민가의 비유

 

 

 

신라 경덕왕 24년에 충담(忠談)이 지은 향가. 10구체로 되어 있다. ≪삼국유사≫ 권2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조에 작품의 유래에 관한 배경설화와 향찰로 표기된 원문이 함께 전한다. 경덕왕이 3월 3일에 귀정문(歸正門) 다락 위에 올라 신하들에게 누가 영복승(榮服僧)을 데려 오겠느냐고 두 의미(화려하게 옷을 입은 승려의 의미와 영화롭게 일을 해줄 승려의 의미)를 가진 말을 하였다.

 

신하들은 영복승의 의미를 화려하게 옷을 입은 승려의 의미로 보고, 마침 위풍이 있는 한 대덕이 그 앞을 배회하자 그를 데려왔는데, 왕은 자기가 바라는 영승(榮僧)이 아니라고 돌려보냈다. 이 과정에는 이미 왕과 신하들의 갈등이 내재해 있다. 그 다음에 누더기옷을 입고 앵통(櫻筒)을 진 다른 중이 남쪽으로부터 걸어오자, 왕이 그 중을 기뻐하며 맞아, 이름을 물으니 충담이라고 하였다. 충담이 남산 삼화령(三花嶺)의 미륵세존불상에게 차를 끓여 바치고 오는 길이라고 하므로 왕이 차를 요청하였더니, 차의 맛이 이상하고 그릇에서 향내가 풍기었다. 왕이 충담의 <찬기파랑사뇌가 讚耆婆郎詞腦歌>가 뜻이 매우 높다[其意甚高]는 소문을 들은 바 있었으므로, 이를 충담에게 물으니 과연 그렇다고 하였다. 이어서 왕이 백성을 다스려 편안하게 할 노래[理安民歌]를 지어달라고 충담에게 요청하니, 충담은 ‘이안민가’를 짓지 않고 <안민가>를 지어 바쳤다. 왕이 아름답게 여겨 왕사로 봉하였으나 사양하였다.

 

이러한 유래담에서 <안민가>는 경덕왕이 백성을 다스려 편안하게 하고자[理安民] 한 의도에 충담은 백성을 편하게[安民] 하는 노래로 바꾸어 대답한 의도가 숨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본 내용은 왕은 아버지요, 신하는 어머니요, 백성은 어린아이라고 비유하고, 각기 자기 본분을 다하면 나라와 백성이 편안하다는 것이다.

 

향찰(鄕札)로 표기된 원가사, 그 해독 및 현대 어석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원문

君隱 父也/臣隱 愛賜尸 母史也/民焉 狂尸恨 阿孩古/爲賜尸知 民是 愛尸 知古如/窟理叱 大肸 生以支 所音 物生/此肸 喰惡攴 治良羅/此地肸 捨遣只 於冬是 去於丁/爲尸知 國惡支(←攴) 持以支 知古如/後句 君如 臣多攴(←支) 民隱如/爲內尸等焉 國惡 太平恨音叱如

 

② 해독

님검은 아비야/알바단 ᄃᆞᆺ오실 어시야/일거언 얼ᄒᆞᆫ 아ᄒᆡ고/ᄒᆞ실디 일건이 ᄃᆞᆺ올 알고다/窟理(구리, 理窟)○ 한흘 살이기 숌 物生(갓살, 生物이)/이흘 자압 다ᄉᆞᆯ아라/이 다흘 ᄇᆞ리곡 어ᄃᆞᆯ이 니거-뎌/ᄒᆞᆯ디 나라아기 디니이기 알고다/後句(아야, 後句) 님검답 알바단답 일건답/ᄒᆞᄂᆞᆯᄃᆞ언 나라악 太平ᄒᆞᆫ음ᄯᅡ (양희철 해독)

 

③ 현대어 풀이

임금은 아버지야!/신하는 사랑하실 어머니야!/백성은 경망한 아이고(?)/하실지? 백성이 사랑할 것을 알고다!/주린 배(/理窟)의 큰 것을 살리기에 있음의(/을) 물건을(/生物이)/이를 먹어 다스리도다(다스려지도다)!/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져?!/할지? 나라가 디니이기 알고다!/아야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현재 할 것이면(현재 할 것인가는?) 나라 太平함니다! (양희철 풀이)

 

위 해독을 양주동(梁柱東)이나 김완진(金完鎭)의 해독과 비교하면 많은 차이점이 드러난다. 그 중의 상당수는 당시의 언어체계로 표기할 때와 당시의 우리말로 해독하느냐 한자로 해독하느냐에서 나타나는 차이이다.

이런 것들은 그 의미 면에서는 세 해독의 의미가 거의 같으나, 이 해독은 시어의 특성인 많은 중의법들을 계산한 것이 차이이다.

 

그러나 중의법을 제외하고도 의미와 표기가 다른 것을 보면, 위의 ‘窟理(구리, 理窟)○ 한흘’은 ‘구릿ᄒᆞᄂᆞᆯ’과 ‘구믈ㅅ다히’로, ‘살이기 숌 物生(갓살, 生物이)’은 ‘살이기 바라ᄆᆞᆯᄊᆡ’과 ‘살손 物生’으로, ‘자압’은 ‘치악’과 ‘머기’로, ‘다ᄉᆞᆯ아라’는 ‘다ᄉᆞ릴러라’와 ‘다ᄉᆞ라’로 해독되기도 하였다. 동시에 작품의 분구(分句)에서도 ‘ᄒᆞ실디’, ‘ᄒᆞᆯ디’, ‘ᄒᆞᄂᆞᆯᄃᆞᆫ’ 등은 앞의 구에 혹은 해당 구에 붙는다고 주장하기도 하나, 두 가지가 동시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에 ‘ᄒᆞ실디’, ‘ᄒᆞᆯ디’, ‘ᄒᆞᄂᆞᆯᄃᆞᆫ’ 등을 앞의 구에 붙이면, ‘왕이 가정 혈연적인 군○신○민의 관계를 말하여 서로가 상호 사랑과 그 인식의 바탕 위에서, 군○신○민 각자가 각자다우면 나라가 지켜지고 태평하다는 교훈적 권고’의 의미를 갖는다. 

 

동시에 ‘ᄒᆞ실디’, ‘ᄒᆞᆯ디’, ‘ᄒᆞᄂᆞᆯᄃᆞᆫ’ 등을 각각 제4○8○10구에 소속시키면, 해당 행은 각각 도치구문이 되면서, ‘군○신○민 각자가 각자답지 못하여, 군○신○민이 상호간의 사랑과 그 인식을 모르고, 악정에 의해 백성이 나라를 떠나려 하고, 나라가 태평하지 못함을 책문(責問)하고 그 반대의 정치를 권고하는 책난(責難)의 의미’를 가진다. 개인적 서정보다는 백성을 다스려 편안하게 하고자 한 현실 효용적인 노래로, 유교와 불교의 애타사상(愛他思想)·민본사상(民本思想)·정법사상(正法思想)·정명론(正名論) 등이 복합되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