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6

고전시가 0013_원앙생가_광덕 1.핵심 정리 갈래 : 10구체 향가 성격 : 기원적, 불교적 제재 : 극락왕생 주제 : 극락왕생을 간절히 바리는 마음 특징 : 전형적인 기원가(祇願歌)의 모습을 보여 줌. 연대 : 신라 제30대 문무왕(7세기) 출전 : 권5 2.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자신의 소먕을 초월적 대상에게 기도하는 전형적인 기원가(祈願歌)이자, 종교적인 색채가 두드러지는 10구체 향기로 에 실려 전한다. 이 작품에는 화자, 달, 무량수불이 등장하는데, 일차적, 표면적 청자는 달이지만 궁극적으로 화자가 자신의 뜻을 전하고자 하는 본질적인 청자는 무량수불이라 할 수 있다. 1구~4구에서는 달에게 자신의 소원을 서방 세계의 무량수불에게 전해 주기를 부탁하고 5구~8구에서는 경건하고 간절한 자세로 자신의 소망이 바로 극락왕생임을 표.. 2023. 11. 7.
고전시가 0012. 처용가(處容歌)_처용 1. 핵심 정리 갈래 : 8구체 향가 성격 : 주술적, 무가(巫歌) 제재 : 아내를 범한 역신(질병을 일으키는 신) 주제 : 아내를 범한 역신을 물러나게 함. 의의 : ① 현재 전해지는 신라 향가의 마지막 작품 ② 향가 해독의 시금석(試金石 : 가치 등을 알아볼 수 있는 기준이나 기회가 되는 사물) 역할을 함. ③ 고려 가요의 모태가 됨. 연대 : 신라 제49대 헌강왕(9세기 후반) 출전 : 권2 2. 시어 풀이 새발 : 서울(신라의 서라벌, 경주). 발기 다래 : 밝은 달에. 밤드리 : 밤이 깊도록. 드러사 : (집에)들어와. 자리 보곤 : 잠자리를 보니. 가라리 : 다리가 내히어라 : 네 개로구나. 내해엇고 : 내 것이고. ‘해'는 사람을 나타내는 대명사 뒤에 붙어 ‘것'이라는 의미를 지님. 뉘해언고.. 2023. 11. 6.
0011. 도솔가_월명사 1. 핵심정리 갈래 : 4구체 향가 성격 : 주술적, 불교적 제재 : 산화공덕(散花功德) 주제 : 산화공덕으로 국가의 괴변을 물리치고자 함. 특징 : ① 국태민안(國泰民安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을 기원하는뜻에서 부른 노래임. ② 명령법을 사용하여 소망을 제시함. ③ 꽃을 인격화하여 화자의 염원을 알림. 연대 : 신라 제35대 경덕왕(8세기) 출전 : 권5 2. 시어 풀이 산화(散花) : 불교 의식에서 꽃을 뿌리며 부처를 모시는일. 부리워져 : 부림을 당하여. 미륵좌주(彌勒座主) : 미륵보살. 도솔천에 사는 미륵보살이 56억 7천만 년 후에 미륵불로 나타나 중생을 건진다고함. 나립(羅立) : 나란히 벌여 늘어섬. 3. 시구풀이 ① 곧은 마음의 명(命)에 부리워져 : 산화(散花)의 의식은 곧은 .. 2023. 11. 5.
0010.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_충담사 1. 시어 풀이 늣겨곰 : 흐느끼며. 바라매 : 바라보매. 발간 : 밝힌. 다라리 : 달이. 몰이 : 모래. 믈서리여해 : 물가에 즈시올시 : 모습과도 같은. 일오(逸烏) 나릿 : 냇물의 이름. 재벼긔 : 자갈 벌에서. 가살 : 끝을. 곳가리여 : 고깔(화랑의 우두머리)이여. 2. 시구풀이 ① 늣겨곰 바라매 : 시름에 잠겨 있는 화자의 모습이 드러난다. 화자는 신성한 가치가 사라져 가고 세속적인 현실의 논리가 퍼져 나가 기파랑의 고결한 인품을 볼 수 없는 현실을 안타깝게 바라보고, 기파랑을 그리워 한다. ② 기랑(耆郞)애 즈시올시 수프리야 : ‘기파랑의 모습이로구나.'하고 생각했는데 실은 어슴푸레한 저녁 강변의수풀이었음을 의미한다. ③ 아야 자싯가지 ~ 두폴 곳가리여 : 화자의 추모의 정이 집약된 구절로.. 2023. 1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