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려시대 시가의 특징
① 중국 문화와의 교류, 과거 제도의 실시 등으로 향가와 같은 국문 문학이 위축, 쇠퇴하고 한문 문학이 융성하게 되었다.
② 평민들의 생활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고려 가요가 민간에서 유포, 전승되다가, <소악부(小樂府)>에 한시로 번역되어 궁중의 속악(俗樂) 가사로 수용되고 개편되 었다.
③ 고려 말 새로운 문학 담당층으로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득의에 찬 삶과 향락적인 여흥을 위해 경기체가를 창작, 향유했다.
④ 귀족 문학과 평민 문학으로 양분되어 있던 당시의 문학적 풍토에서 시조가 발생하여 이들을 아우름으로써 새로운 국민 문학의 기틀을 형성했다.
2. 향가 소멸의 원인
① 고려 시대에 시행된 과거 제도의 영향 : 지식인들의 한문학 숭상
② 향찰 사용 부진
3. 속악
우리 고유의 전통 궁중 음악을 중국계의 아악이나 당악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고려 이후에는향약(鄕樂)과 같은 뜻으로 쓰임.
4. 고려 시가의 갈래
향가계 고려 가요
향가계 여요라 함은 신라의 향가가 고려 가요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과도기적 형태의 시가로, 향찰(鄕札)로 표기 되었거나 향가의 형태를 유지한 고려 가요(한글 표기)를 총칭하는 말이다. 신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던 향가는 고려 전기에도 계속 창작되었으나 시대적 여건과 한문학의 압력으로 서정시 본래의 서정성을 상실하고 쇠퇴하기 시작했다. 향가의 전통은 고려 시대 균여 대사의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를 거쳐 향가계 고려 가요인 예종의 <도이장가(悼二將歌)>, 정서의 <정과정(鄭瓜亭)>에 이어졌으나 더 이상의 진전은 없었다.
한시(漢詩)
고려 시대에는 과거 제도의 실시, 국가 교육 기관인 국자감 설치, 불교의 융성 등으로 한문학이 발달하게 되어 한시가 발달했다. 또한 거듭된 외부의 침입으로 민족 의식이 고양되면서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 이승휴의 <제왕운기(帝王韻紀)> 등의 민족 서사시가 창작 되었다.
한문학 발달의 요인
① 중국 문물의 수입과 우리글의 부재로 인한 국문학의 위축
② 신라의 육두품 계층이 고려의 귀족으로 전환되면서 한문학을 익혔던 이들이 문학 담당층으로 등장
③ 한문학적 소양을 갖춘 승려들의 시작(詩作)
고려 가요(高麗歌謠)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로 ‘고려 속요(高麗俗謠)', ‘여요(麗謠)', ‘장가(長歌)'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로는 고려 시가 전체를 포함하며 , 좁은 의미로는 귀족층이 향유하던 ‘경기체가'를 제외한 고려 가요를 일컫는데, 향가계 고려 가요까지 포함하여 이른다.
고려 가요는 민요에 바탕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귀족층의 한문학이 융성하던 시기에 평민층에서 새로이 나타난 노래이다. 당시에는 우리 글자가 없어 구전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문자로 정착되기 시작했다. 문자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조선 시대 유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는 사리부재(詞俚不載)"라 하여 개작 또는 삭제한 작품이 많아 일부만 전해진다.
(1) 내용상 특징
남녀 간의 사랑, 자연 예찬, 이별의 슬픔 등 평민들의 다양한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했다.
(2) 형식상 특징
3음보를 기본으로 하며 3.3.2조의 음수율이 많이 나타난다.
살어리/ 살어리/ 랏다// 청산에/ 살어리/ 랏다// <청산별곡>
대부분이 몇 개의 연이 연속되는 분연체(分聯體, 분절체, 연장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연마다 후렴구가 붙는 것이 보통이다.(분연체가 아닌 고려 가요 <정과정>, <사모곡> 등)
(3)의의
아름다운 우리말 표현, 유려한 율조, 표현의 소박성과 함축성, 꾸밈 없는 생활 감정의 표출, 경쾌한 리듬을 살리는 기교 등의 사용으로 고려 문학의 진수, 국문학사상 백미로 평가된다.
(4) 작가
대부분이 작자 미상이다.
(5) 수록문헌
조선 시대 때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수록되어 궁중 음악으로 향유되었다.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는 사리부채(詞俚不載)" : 남녀가 서로 사랑하면서 즐거워하는 노랫말은 저속하여 문헌에 싣지 못한다는 말
고려 가요가 기록된 문헌
① <악학궤범> : 조선 성종 때 성현, 유자광 등이 왕명에 따라 펴낸 음악책으로 음악의 이론, 악기 배열, 무용절차, 무대장치 등에 대해 서술함. 궁중 의식에서 연주하던 음악이 그림으로 풀이되어 있음.
② <악장가사> : 고려 시대부터 조선초기끼지의 속악(俗樂)과 가곡(歌曲)을 수록한 책으로 조선 중종과 명종 사이에 일설에 박준이 엮었다고 전해짐.
③ <시용향악보> : 작가와 연대를 알 수 없는 조선 시대의 가곡집으로 26수의 가사와 악보가 실려 있음.
경기체가(景幾體歌)
고려 중엽 무신의 난 이후 새롭게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득의에 찬 삶과 유흥적이고 향락적인 생활을 드러내기 위해 즐기던 노래이다. 구체적 사물을 나열하면서 객관적인 설명을 가하는 교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고려 고종 때 발생하여 조선 선조 때까지 약 350년 간 이어진 별곡체 형태의 시가를 이르는데, 13세기 초에 한림힉사들이 지은 <한림별곡(翰林別曲)>을 시작으로 출현했다. 경기체가라는 명칭은 이 노래에 ‘-경(景) 긔 엇더 흐니 잇고' 혹은 ‘경기하여(景幾何如)'라는 구절이 되풀이되는 것을 줄여서 붙인 것이다.
(1) 내용상 특징
글, 경치, 기상 등을 제재로 삼아 선비들의 학식과 체험을 노래했고, 시물이나 경치를 나열함으로써 신흥사대부의 호탕한 기상과 자부심을 드러냈다.
(2) 형식상 특징
- 몇 개의 연이 중첩되어 한 작품을 이루는 연장(聯章) 형식을 취하고 있다.
- 한 연은 6행으로 되어 있으며 제5행과 제6행에서 두 개의 구조적 단위, 즉 전대절과 후소절로 양분되는 분절형식이다.
- 제1행~제3행까지는 각각 3음보, 제5행은 4음보인 것이 원칙이고, 제5행의 4음보 가운데 뒷부분 2음보는 앞 2음보의 가사를반복한다.
- 음수율은 제1, 2행이 3. 3. 4, 제3행이 4. 4. 4, 제5행이 4. 4. 4. 4의 음절로 되어 있다.
신흥사대부 : 고려 후기에 무신이 집권하게 되자 대부분의 문벌귀족(門閥貴族)들은 몰락하여 초야에 은둔했지만, 일부 문신(文臣)들은 집권층들의 문하를 드나들며 신흥 사대부 계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들이 사회 전면에 등장하면서, 성리학을 자신들의 이념으로 받아들이고 한문학에 현실 인식의 과제를 부여하며 새로운 문학을 성립해 나갔다.
별곡체(別曲體) : 경기체가를 민요체인 고려 속요와 구분하기 위해 이르는말.
(3) 의의
운율적으르는 음악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지만 내용은 문학성을 거의 갖추고 있지 않으며 , 한시(漢詩)도, 우리나라 시도, 아닌 중간적 성격을 띤 문학이다. 그러나 정제된 형식미를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까지 사대부 계층이 주로 창작했다.
시조(時調)
주로 사대부의 서정을 간결한 형식 속에 담아낸 우리 고유의 정형시로, 고려 후기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신흥사대부들이 경기체가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기 위해 또 다른 표현 영역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국문학의 대표적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향가에서 기원하여 고려 가요의 분장(分章)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 중엽에 발생하고 고려 말기에 완성되어 오늘날에까지 이르고 있는데, 귀족 문학과 평민 문학으로 양분되어 있던 당시의 문학적 풍토에서 이 둘을 아우름으로써 새로운 국민 문학의 기틀을 형성했다.
(1) 내용상 특징
유교적 충의(魯義) 사상을 노래한 시조들이 주류를 이루며, 고려의 유신(遺臣)들이 지은 회고가나 정몽주의 <단심가> 등이 대표적이다.
(2) 형식상 특징
일반적으로 3장 6구 45자 내외를 기본형으로 하여 3 . 4조 또는 4 . 4조의 4음보로 이루어지며, 종장의 첫음보는 3음절로 고정되어 있다.
(3) 의의
처음에는 단아하고 간결한 형식이 사대부 계층의 취향에 맞아서 발달했지만, 점차 향유층이 확대되어 국민 문학으로 승화되었다.
(4) 작가
이방원, 정몽주, 우탁, 원천석, 이색, 이조년 등의 사대부 계층이 주를 이룬다.
시조의 기원설
① 고대 민요의 영향설
② 향가(10구체 향가의 낙구) 기원설
③ <정읍사>와 같은 6구체 기원설
④ 한시 번역 과정에서 생성되었다는 설
⑤ 고려 가요(분장체) 기원설(특히 <만전춘별사>에 보이는 3장형식이라는 주장) : 고려 가요의 형태상 특징이 허물어지면서 단형화되어 새로운 시조형이 만들어졌다는설이 가장 유력함.
시조의 형식상 갈래
① 평시조 : 초. 중. 종장이 각 15자 내외, 총 45자 내외인 단시조
② 엇시조 : 초. 중장 가운데 어느 한 장이 평시조보다 1음보 정도 길어진 시조
③ 사설시조 : 초. 중장이 제한 없이 길고 종장도 어느 정도 길어진 시조
④ 연시조 : 2수 이상의 시조를 나열하여 한 편의 작품을 이룬 시조
⑤ 단시조 : 연시조에 대응하여 쓰는 말로 평시조와 같은 의미
'고전시가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21. 고려가요_동동_작가미상 (2) | 2023.11.14 |
---|---|
고전시가 0020_가시리_작가미상 (0) | 2023.11.11 |
고전시가 0019_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_최치원 (0) | 2023.11.09 |
고전시가 0018_추야우중(秋夜雨中)_최치원 (2) | 2023.11.09 |
고전시가 0017_촉규화(蜀葵花)_최치원 (0) | 2023.11.08 |